전체 글156 글리신 효능 , 포함된 음식 종류 보충제 섭취 시 부작용 알아보기 오늘은 아미노산 중에서도 글라신 효능과 성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이 글라신이란 성분은 우리 몸 속 단백질을 구성하는 필수아미노산중 하나로 면역체계 강화 및 세포재생과 성장 촉진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1. 글리신 이란? 글리신은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20개의 주요 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 이 아미노산은 단백질 구조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몸의 다양한 생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글리신은 단백질의 합성, DNA와 RNA의 구조 형성, 신경계 및 면역계의 건강 유지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글리신은 크레아틴의 합성에도 중요한데, 이는 우리의 근육 성장 및 복구와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입니다. 글리신은 또한 우리 몸의 항산화 체계의 일부이며, 염증 반응을 .. 2023. 12. 22. 혈소판 분포 폭 PDW 정상수치 및 높으면 낮으면 알아보기 'PDW'는 'Platelet Distribution Width'의 약자로, 혈소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DW의 정상수치는 일반적으로 10-20%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PDW의 수치가 높으면 혹은 낮으면 어떤 증상이 있는지 알아보고 정상수치로 유지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PDW란? 'PDW'는 'Platelet Distribution Width'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혈소판 분포 폭'이라고 번역됩니다. 이는 혈소판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로, 혈소판의 크기가 얼마나 일정한지를 나타냅니다. 혈소판 분포 폭은 보통 혈액검사 중 하나인 CBC(Complete Blood Count)의 일부로 측정됩니다. 혈소판 분포 폭이 높으면 혈소판의 크기가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2023. 12. 21. epithelial cell 상피세포 란? 수치 높으면 낮으면 정상수치 알아보기 'Epithelial cell'은 한국어로 '상피세포'라고 번역되며, 우리 몸에서 피부, 내장, 혈관, 기관 등 다양한 조직의 표면을 덮는 세포를 말합니다. 오늘은 상피세포의 수치가 높으면 혹은 낮으면 어떻게 되는지와 정상 범위를 유지하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Epithelial cell 상피세포란? 'Epithelial cell'은 한국어로 '상피세포'라고 번역되며, 우리 몸에서 피부, 내장, 혈관, 기관 등 다양한 조직의 표면을 덮는 세포를 말합니다. 상피세포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보호: 상피세포는 피부나 내부 기관의 표면을 덮어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합니다. 2. 흡수: 소장 등의 내부 표면을 덮는 상피세포는 영양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3. 분.. 2023. 12. 20. 단핵구 monocyte 란? 수치가 높으면 낮으면 정상수치 유지하는 방법 단핵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면역계 세포 중 하나로 외부로부터 침입한 세균과 바이러스 등을 잡아먹는 식균작용을 합니다. 오늘은 단핵구의 수치가 높으면 그리고 낮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정상 수치를 유지하는 방법은 어떤게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단핵구(monocyte)란? 'Monocyte'는 한국어로 '단핵구'라고 번역되며, 우리 몸의 중요한 면역 시스템 구성원인 하나입니다. 단핵구는 흰혈구 중 하나로, 골수에서 생성되어 피로 유입됩니다. 이들은 주로 세포 외에서 발견되는 병원체(바이러스, 세균 등)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염증 반응을 조절하고, 조직의 손상 부위를 복구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단핵구는 특히 세포 내부로 침입한 병원체에 대응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들은 감염된.. 2023. 12. 19. Hgb(혈색소) 란? 높으면 낮으면 정상수치 유지하는 방법 1. Hgb(혈색소) 란? Hgb는 Hemoglobin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혈색소'라고 합니다. 혈색소는 우리 몸의 적혈구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하는 주요 역할을 합니다. 혈색소는 폐에서 흡입한 산소를 적혈구에 결합시키고, 이를 신체의 모든 세포에 전달합니다.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세포에서 가져와 폐로 전달하며, 이산화탄소는 우리가 숨을 쉴 때 제거됩니다. 혈색소 수치는 건강한 적혈구의 수와 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혈색소의 정상 범위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남성은 13.5~17.5 g/dL, 여성은 12.0~15.5 g/dL 입니다. 이 범위는 연령,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변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Hgb(.. 2023. 12. 18. HbA1c(헤모글로빈 A1c) 란? 정상수치 유지하는 방법 HbA1c(헤모글로빈 A1c), 또는 긴시간 혈당, 당화혈색소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그럼 오늘은 HbA1c에 수치가 높으면, 낮으면 어떤 증상이 있는지 알아보고, 정상수치를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HbA1c(헤모글로빈 A1c)란? HbA1c(헤모글로빈 A1c), 또는 긴시간 혈당, 당화혈색소라고도 불리는 이것은 최근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HbA1c는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혈당과 결합하여 형성되는데, 이는 혈당 수치가 높을수록 더 많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HbA1c 수치는 과거 몇 달 동안의 혈당 관리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됩니다. HbA1c 수치는 당뇨병 진단.. 2023. 12. 1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26 다음